SQL12 [SQL] MAU(Monthly Active Users)의 속성을 나누어 분석하기 & 지표 개선 방법(with. Google BigQuery) 책 '데이터 분석을 위한 SQL 레시피'를 참고했습니다. (12강) 1. MAU란? Monthly Active User의 약자로, 한 달 동안 해당 서비스를 이용한 순수 이용자 수를 나타내는 지표를 뜻한다. MAU는 순수 방문자 수(Unique Visitor)를 나타내기 때문에 한 명이 해당 기간 동안 여러 번 서비스를 이용했더라도 한 명으로 집계한다. 보통 게임 등 인터넷 기반 서비스에서 해당 서비스를 얼마나 많은 사용자가 실제로 이용하고 있는지 나타내는 지표 중 하나로 활용한다. 하지만 MAU는 월별 이용자의 수만 알 수 있으며, 어떤 사용자가 서비스를 사용하는지 제대로 파악할 수 없다. 서비스 사용자의 구성을 더 자세히 파악하기 위해 MAU를 3가지 속성으로 나누어 분석할 수 있다. 2. MAU의 .. 2023. 3. 1. [SQL] RFM 분석을 작성하는 SQL 쿼리(with. Google BigQuery) 책 '데이터 분석을 위한 SQL 레시피'를 참고했습니다.(11강) 1. RFM 분석이란? 고객의 미래 구매 행위를 예측하는데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이 과거 구매내용이라고 가정하는 시장분석기법이다. 이전 Decile 분석은 데이터 검색 기간에 따른 문제점이 있다. ● 검색 기간을 장기간으로 봤을 때 과거에는 우수 고객이었지만 현재는 휴먼 고객일 경우에도 중요도가 높은 Decile1 으로 기록 될 수 있다. ● 단기간으로 봤을때도 정기적으로 비교적 가격이 낮은 상품을 구매하는 안정 고객이 Decile 등급을 높게 받기 쉽지가 않다. → 이러한 단점을 보안할 수 있게 RFM분석은 한 번에 비싼 물건을 구매한 사용자, 정기적으로 구매하는 안정 고객 등 고객의 성향에 맞춰 구분할 수 있게 한다. 2. RFM 분석의.. 2023. 2. 13. [SQL] Decile 분석을 작성하는 SQL 쿼리 (with. Google BigQuery) 책 '데이터 분석을 위한 SQL 레시피'를 참고했습니다.(11강) 1. Decile 분석이란? Decile -> 10분위수(어떤 집합체를 특정 변수에 따라 10개로 균등하게 나눈 집단의 하나) 예시로 뉴질랜드의 학교 제도에는 데사일(decile) 제도라는 것이 존재한다. 데사일제도는 1995년부터 뉴질랜드정부가 학교 교육의 평준화 목적으로 재정적으로 힘든 학교들에게 부족한 지원금액을 할당할 목적으로 학생들의 사회 계정적 지위, 부모들의 교육수준 등을 기초로 1부터 10까지 분류한 학교 재정 자립도를 의미한다. 쉽게 생각해 각 학교마다 가난한 가정의 비율을 조사한 후, 그 비율이 제일 높은 상위 10퍼센트 학교가 decile1, 가장 낮은 학교가 decile10이다. decile1 그룹은 지원금액을 할당 .. 2023. 2. 12. [SQL] 여러 개의 테이블 조작하기(2) 책 '데이터 분석을 위한 sql 레시피'를 참고했습니다. (3) 조건 플래그를 0과 1로 표현하기 위 테이블을 결합해 사용자의 '신용카드 번호 등록 여부' , '구매 이력 여부' 두 가지 조건을 0과 1로 표현해보자 한다. 첫 번째는 case를 이용해 0과 1로 나타 내는것 두 번째는 sign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select m.user_id , m.card_number , count(p.user_id) as purchase_id , case when m.card_number IS NOT NULL THEN 1 ELSE 0 END AS has_card, -- 카드 넘버가 있을 시 1, 아니면 0 sign(count(p.user_id)) as has_purchased -- 구매이력이 양수일 시 1 , .. 2023. 2. 9. 이전 1 2 3 다음